[계관웅 유학사냥 38탄]
new(redesigned) SAT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 24
[계관웅 유학사냥 37탄] 2016 new(redesigned) SAT 학원에서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 23 |
[계관웅 유학사냥 36탄] 2016 new(redesigned) SAT 학원에서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 22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계관웅 유학사냥38탄] new(redesigned) SAT 학원에서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 24
new SAT학원에서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 2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6년3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새로운SAT를 제대로 준비하기 위해서는Critical Analysis(=Logical Analysis(논리적 분석력))가 습관화되어야 한다.현재Critical Analysis의 예를 연재하고 있지만 가끔, 이번 칼럼처럼 중간에SAT준비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 또는 특별주제를 다루기도 한다.
더 빨리 지문을 읽고 이해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이 내용은 이미 36탄에서 다루었고 이 칼럼에서는 예를 하나 더 들어서 이해를 도우려고 한다.
다음 지문을 읽고 첫 문단의 초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1)Roger Rosenblatt's book Black Fiction, in attempting to apply literary rather than sociopolitical criteria to its subject, successfully alters the approach taken by most previous studies. (2)As Rosenblatt notes, criticism of Black writing has often served as a pretext for expounding on Black history. (3)Addison Gayle's recent work, for example, judges the value of Black fiction by overtly political standards, rating each work according to the notions of Black identity which it propounds.
Although fiction assuredly springs from political circumstances, its authors react to those circumstances in ways other than ideological, and talking about novels and stories primarily as instruments of ideology circumvents much of the fictional enterprise. Rosenblatt's literary analysis discloses affinities and connections among works of Black fiction which solely political studies have overlooked or ignored.
[1st approach]
(1), (2), (3)을 동시에 읽어야만 초점을 쉽게 알 수 있는 경우이다. (3)이 (2)의 예인데 내용상 (3)은 (2) 내용의pretext의 예이다. 그리고 (3)을 보면 이 pretext 의 내용이 overly political standards이고 (1)에서 literary criteria, successfully라고 했으므로 저자는 literary에 대해서는 긍정적이고 sociopolitical 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다. 즉, 첫 문단의 초점은 literary criteria, successfully 이다. 의미 있는 표현으로 바꾸어보면, literary criteria successfully altering previous approach 이며, (2)/(3)은 (1)에 대한 SPECIFICATION이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2nd approach]
(1)에서 literary criteria, successfully라고 했으므로 저자는 literary에 대해서는 긍정적이고 sociopolitical 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다. (2)에서 has often served 라고 했으므로 (2)는 지나간 내용, 즉 sociopolitical approach에 관한 내용이므로 초점이 아니다. (3)은 (2)의 예이므로 당연히 초점이 아니다. 첫 문단의 초점은 literary criteria, successfully 이다. 의미 있는 표현으로 바꾸어보면, literary criteria successfully altering previous approach 이며, (2)/(3)은 (1)의 sociopolitical approach에 대한 SPECIFICATION/EXEMPLIFICATION 이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위의 2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이 더 나은지 비교해 보자.
무조건 쓰인 순서대로 분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외는 없다. 저자의 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을순서대로 따라가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읽기 방법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