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계관웅 유학사냥 40탄] new(redesigned) SAT 학원에서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 26
  1. Write
  2. |
  3. xpertprep
  4. Hit
  5. |
  6. 11319
  7. Date
  8. |
  9. 2017. 04. 12
  10. 추천
  11. |
  12. 0

[계관웅 유학사냥 40탄]

 

new(redesigned) SAT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 26

 

 

    [계관웅 유학사냥 39탄] 2016 new(redesigned) SAT 학원에서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 25
  [계관웅 유학사냥 38탄] 2016 new(redesigned) SAT 학원에서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 2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계관웅 유학사냥 40] new(redesigned) SAT 학원에서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 26

 

new SAT학원에서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 26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63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새로운SAT를 제대로 준비하기 위해서는Critical Analysis(=Logical Analysis(논리적 분석력))가 습관화되어야 한다현재Critical Analysis의 예를 연재하고 있지만 가끔이번 칼럼처럼 중간에SAT준비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 또는 특별주제를 다루기도 한다.

 

 

더 빨리 지문을 읽고 이해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이 내용은 이미 [36 ~38]에서 다루었고 이 칼럼에서는 예를 하나 더 들어서 이해를 더 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다음 지문을 읽고 첫 문단의 초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1) As I tried to understand my dual roles of writer and mother, I realized that most, if not all, human lives are full of fantasy—passive daydreaming that need not be acted on. (2)But to write poetry or fiction, or even to think well, is not to fantasize, or even to put fantasies on paper(3)For a poem to coalesce, for a character or an action to take shape, there has to be an imaginative transformation of reality that is in no way passive. (4)And a certain freedom of the mind is needed—freedom to press on, to enter the currents of your thought like a glider pilot, knowing that your motion can be sustained, that the buoyancy of your attention will not be suddenly snatched away. (5)Moreover, if the imagination is to transcend and transform experience, it has to question, to challenge, to conceive of alternatives, perhaps to the very life you are living at that moment. You have to be free to play around with the notion that day might be night, love might be hate; nothing can be too sacred for the imagination to turn into its opposite or to call experimentally by another name. For writing is renaming. Now, to be maternally with small children all day in the old way, to be with a man in the old way of marriage, requires (6)a holding backa putting aside of that imaginative activityand demands instead a kind of conservatism. I want to make it clear that I am not saying that in order to write well, or think well, it is necessary to become unavailable to others, or to become a devouring ego. This has been the myth of the masculine artist and thinker, and I do not accept it. But to be a female human being trying to fulfill traditional female functions (7)in a traditional way is in direct conflict with the subversive function of the imagination. The word "traditional" is important here. There must be ways, and we will be finding out more and more about them, in which the energy of creation and the energy of relation can be united. But in those years I always felt the conflict as a failure of lovein myself. I had thought I was choosing a full life: the life available to most men, in which se xuality, work, and parenthood could coexist. But I felt, at twenty-nine, guilt toward the people closest to me, and guilty toward my own being. I wanted, then, more than anything, the one thing of which there was never enough: time to think, time to write.

 

(2)의 시작에서 but 이라고 했으므로초점은 (1)이 아니고 (2)에 있다그러나 초점이 무엇인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왜냐하면 fantasize, fantasies가 중요하지 않다고만 하고 있으므로 그럼 뭐자 중요한 것인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The author is kind of stalling. 다음 문장을 읽고도 fantasies와 (3)이 무슨 관계인지 모르면 심각한 상태이다제발 답을 보기 전에 (1),(2),(3)을 다시 읽어보자

 

(3)For a poem to coalesce, for a character or an action to take shape, there has to be an imaginative transformation of reality that is in no way passive.

 

제발 답을 보기 전에 (1), (2), (3)을 다시 읽어보자.

제발 답을 보기 전에 (1), (2), (3)을 다시 읽어보자.

제발 답을 보기 전에 (1), (2), (3)을 다시 읽어보자.

 

(1)에서 fantasy를 수동적인 상념이라고 했고(fantasy—passive daydreaming that need not be acted on), (3)에서 imaginative transformation of reality는 절대로 수동적이지 않다고 했으므로저자는 fantasy와 imaginative transformation of reality를 상반된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fantasies à negative / imaginative transformation of reality à positive). 즉 (1), (2), (3)의 초점은 imaginative transformation of reality 이다그런데 이 개념이 첫 문단 전체의 초점인지는 아직 모른다왜냐하면 첫 문단이 너무 길기 때문이다.

 

(4)의 초점은 freedom이므로 imaginative transformation of reality freedom과의 논리적 관계를 알아야 첫 문단의 문맥을 파악할 수 있다그런데 (5)에서 다시 imagination(=imaginative transformation of reality)을 언급하고 있다. 이 순간 초점은 imaginative transformation 또는 imagination 이고 freedom 은 imagination을 설명하는데 쓰인 도구즉 SPECIFICATION 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사람들이 흔히 이름을 잘 알고 있는 미국대학에서 GPA 3.5 이상을 받으려면 여기까지 이해하는데 5분 이상이 걸리면 안 된다아직 끝난 게 아니다그럼 imagination의 특징은 무엇인가?

1. not passive at all = active

2. freedom = free

3. question, challenge, alternatives

 

그런데 아무리 introduction 이라고 하더라도 이유가 있어야 하는 법, (1)의 내용 중 다음이 이해가 안 된다As I tried to understand my dual roles of writer and mother이런 경우에는 무조건 첫 문단을 일단 다 읽어야 한다상당수의 저자들이 이상한 방법으로 Stream of Consciousness를 조절 하기 때문에 매우 주의를 요한다.

 

첫 문단의 나머지를 빨리 읽는다(scanning). 이때 찾으려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imagination이 초점이 분명한데그렇다면 계속 imagination의 특징을 열거할 것인가?(more SPECIFICATION)아니면 imagination과 비교될 다른 개념을 소개할 것인가?(COMPARISON AND CONSTRAST)

2. 그것도 아니면 본인의 주장을 반박할 것인가즉 문학적 노력에서 겉으로 볼 때는 imagination이 가장 중요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주장할 것인가그런데 이럴 가능성은 거의 절대로 없다왜냐하면 (1), (2), (3) 어디에도 그럴만한 clue가 없기 때문이다.

3. (1)에서 왜 my dual roles of writer and mother 를 언급한 것인가?

제발 답을 보기 전에 문단의 나머지를 충분히 읽어보고 본인의 생각을 정리해서 노트하자. 제발 답을 보기 전에 문단의 나머지를 충분히 읽어보고 본인의 생각을 정리해서 노트하자제발 답을 보기 전에 문단의 나머지를 충분히 읽어보고 본인의 생각을 정리해서 노트하자제발 답을 보기 전에 문단의 나머지를 충분히 읽어보고 본인의 생각을 정리해서 노트하자제발 답을 보기 전에 문단의 나머지를 충분히

 

충분히 읽었으면 위의 1, 2, 3 중 저자가 설명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확인하자.

(6)에서 금새 알 수 있듯이 저자는 3, 즉 왜 (1)에서 my dual roles of writer and mother 를 이용한 introduction을 했는지를 보여준다극단적 COMPARISON AND CONTRAST를 이용하여 작품활동에서의 imagination의 중요성그리고 그 imagination의 특징의 중요성까지를 강조하는 효과를 낸 것이다다시 말해 my dual roles of writer and mother 는 introduction 이상의 기능을 한 것이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저자가 여기서 끝내지 않는다는 것이다참 잘 쓰인 글이다저자는 traditional, female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들고 나온다그런데 이 마지막 개념들은 글을 어렵고 혼동하게 만드는 게 아니고 도리어 글을 하나의 전체로 통합시켜 완성한다: creating a coherent whole.  

 

그럼 traditional, female를 언급한 목적은 무엇일까? 다음 편을 기대하자 

 

댓글 0
  1. 목록
  2. 수정
  3. 삭제
  4. 추천하기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RESOURCES
  1. 회사소개
  2. |
  3. 업무시간
  4. |
  5. 찾아오시는길
  6. |
  7. 이용약관
  8. |
  9. 개인정보 처리방침
  10. |
  11. 콘텐츠 불법 사용규제
  12. |
  13. 사이트맵
  • #top